라이프치히 전투에서 양측은 어떤 손실을 입었나요?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양측의 손실: 1813년 10월 16일부터 19일까지, 나폴레옹 전쟁의 제6차 반프랑스 동맹(러시아, 오스트리아, 영국, 프로이센, 스웨덴 및 기타 국가) ), 양측은 라이프치히 지역 결전에서 싸웠다. 여러 민족의 군대가 참전했기 때문에 '민족 전쟁'이라고 불렸습니다.

라이프치히 전투 이전의 군사적, 정치적 상황은 연합군에게 유리했다. 수년간의 전쟁으로 돈과 사람이 고갈된 프랑스는 군수품 공급과 예비역 모집에 있어 여력이 제한적이다. 연합군의 의도는 연합군을 이용해 라이프치히 지역의 프랑스군을 포위하고 전멸시키는 것이었습니다. 나폴레옹은 이날 다른 연합군이 전투에 참여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에 10월 16일 보헤미아 연합군에 대한 공격을 계획했습니다. 라이프치히를 공격한 남쪽의 슈바르첸베르크 원수가 지휘하는 보헤미안군(133,000명, 포 578문)을 상대하기 위해 나폴레옹은 5개 보병군단을 2개 전열로 배치했다.

2열에도 4개의 기병군단이 있다. 근위대(Praetorian Guards)는 일반 예비군으로 유지되어 전투 대형의 세 번째 전선을 형성했습니다. Murat 원수는 그룹 (총 122,000 명)을 지휘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베르나도트 원수가 지휘하는 연합군 북부군(58,000명, 포병 256문)과 블뤼허 장군이 지휘하는 연합군 실레지아군(60,000명, 포병 315문)을 상대하기 위해 나폴레옹은 보병군단 2개와 A기병군단 1개(*)를 파견했다. **50,000)은 네이 원수의 통합 지휘 하에 라이프치히 북쪽으로 이전되었습니다.

체임벌린 베르트랑 경(Lord Chamberlain Bertrand)은 군대(12,000명)를 이끌고 린데나우 근처 서쪽으로 배치했습니다. 전투가 시작되기 전, 보헤미아군과 슐레지엔군만이 라이프치히에 접근했다. 당시 북부군은 할레(라이프치히에서 동쪽으로 40km)에, 폴란드군은 발트하임(라이프치히에서 동쪽으로 40km)에 주둔하고 있었다. 연합군은 300,000명 이상의 병력(러시아군 127,000명, 오스트리아군 89,000명, 프로이센군 72,000명, 스웨덴군 18,000명)과 나폴레옹군(프랑스, 폴란드, 네덜란드, 작센, 벨기에, 이탈리아군) 1,385문으로 참전했습니다. 및 기타 국가의 군대) 약 200,000명의 병력과 700문의 포병이 있습니다.

세 군주 알렉산더 1세,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프란시스 1세의 칙령에 따라 연합군 사령부는 10월 16일 오전 보헤미안군(3개 군집으로 편성)과 일반예비군 1개를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 남쪽에서 공격한다. 4개 러시아군(각각 비트겐슈타인, 오이겐 뷔르템베르크, 팔리안, 라예프스키 장군이 지휘)과 2개 연합군(각각 클라이나우, 크레스 장군이 지휘)이 제1군(84,000명, 포병 404문)으로 편성됐다. 바클레이 드 토리 장군의 지휘.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예비군(30,000명, 114문의 포병, 메이펠트 장군 지휘)이 제2군으로 편성되었습니다. 제3군(19,000명, 대포 60문) 역시 프로이센군과 오스트리아군으로 구성되었으며 귈로이(Gyuloy)가 지휘했습니다. 제1그룹은 세이페르트샤인(Seifertshayn)과 클레베른(Klebern) 전선에서 프랑스군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제2그룹은 가이젤 강과 엘스터 강 사이의 모든 교차로를 점령하고 제3그룹의 임무인 프랑스 우익에 대한 공격을 수행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린데나우(Lindenau)를 공격하고 라이프치히(Leipzig)시 서쪽 엘스터 강(Elster River)의 나룻배를 탈취하는 것이었다. 실레지아군은 메케스(Mekes)와 모카(Moka) 노선을 통해 북쪽에서 라이프치히를 공격했습니다.

4일간의 라이프치히 전투는 나폴레옹 전쟁 중 가장 큰 전투였으며, 이 전투로 1813년 전쟁이 끝났습니다. 양측 모두 큰 손실을 입었습니다. 나폴레옹은 거의 80,000명과 포병 325문을 잃었고, 연합군은 54,000명 이상(러시아군 22,000명, 프로이센군 16,000명, 오스트리아군 15,000명 이상)을 잃었습니다.

러시아군은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전투의 주요 임무를 맡으며 연합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러나 연합군 사령부가 기회를 지연시키지 않았다면 나폴레옹의 패배는 더욱 비참했을 것입니다. 오스트리아는 나폴레옹의 군대를 파괴하기보다는 약화시키는 두 가지 정책을 추구했는데, 이는 단호한 캠페인 목표 달성을 방해했습니다. 연합군은 군사 지휘에 주저했고, 군사 행동이 조율되지 않았으며, 통일되고 강력한 지휘력이 부족했습니다.

연합군을 지휘하라는 명령을 받은 슈바르첸베르그는 사실상 총사령관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하지 못했고, 삼국회의는 진정한 연합작전의 총사령관이 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야심 찬 작전 계획의 실현이 불가능해지고 행동에 주저함이 생겨서 많은 병력(1/3)이 대기하고 전투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었다.

라이프치히 전투에서는 나폴레옹의 종합능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했다. 그가 취한 전투 행동은 이전만큼 효과적이지 않았습니다. 그는 강력한 예비군을 분산하여 사용하고 결정적인 지역에서 필요한 힘 이점을 창출하지 않았으며 기본적으로 정면 공격을 채택했습니다. 라이프치히 전투는 정치적, 군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 전투로, 프랑스는 유럽의 많은 영토를 잃었고 나폴레옹의 몰락을 가속화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