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조와 북조 시대에 선불교의 5대 조상인 홍인대사는 자신의 지위를 물려줄 후계자를 찾고자 했습니다. 모든 사람이 한 구절(선시)을 만들고 그것을 잘하는 사람에게 그 권한을 넘겨주어야 한다고 제자들에게 말했습니다.
그날 밤, 제자 중 한 명인 신수스님은 안뜰 벽에 다음과 같은 시를 썼습니다. “몸은 보리수와 같고 마음은 거울과 같으니 항상 부지런히 닦으라. , 먼지를 일으키지 않게 하라." 이는 항상 닦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자신의 영혼과 마음 상태를 돌보고, 지속적인 수행을 통해 외부의 유혹과 각종 악령에 저항하십시오. 수양과 깨달음의 역할을 강조하는 세속적인 사고방식이다.
당시 육조 혜능(惠能)은 사찰의 불화승(熱熱僧)이었고 문맹이었는데, 남들이 이 게타(gatha)를 말하는 것을 듣고 신수는 아직 선(禪)의 참뜻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래서 그는 신수 게타를 약간 변경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신수 게타 옆에 "보리에는 나무가 없고 거울은 받침대가 없습니다. 애초에 아무것도 없는데 어떻게 먼지를 일으킬 수 있겠습니까? "라고 쓰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습니다. " 세상은 원래 텅 비어 있고, 몸도 마음도 텅 비어 외부의 유혹에 저항할 필요도 없고, 노력할 필요도 없다는 뜻이다. 이 영역을 이해하는 것이 깨달음입니다. 문득 깨달음을 강조하는 것은 초월적인 태도이다.
이 구절은 오조의 마음을 크게 사로잡아 육조 혜능에게 그 권한을 넘겼다.
여러 우여곡절 끝에 6조 혜능은 남쪽의 보전소림사에서 남선종을 창건했고, 신수스님도 양나라 때 나라의 수호자가 되어 북종을 창건했다. 젠의.
이 두 게타의 차이는 자연의 고유한 선함과 자연의 고유한 악의 대립과 비슷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