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인 [당나라]
오래 전에 만났는데 헤어진 뒤 세월은 길어지고 동풍이 일어나 백 송이 꽃이 피었네.
누에가 봄에 죽을 때까지 누에를 치고, 매일 밤 초는 심지를 비우네.
아침에는 거울에 비친 머리 구름이 변하는 것을 보면서도 저녁노래로 달빛의 추위를 견뎌낸다.
펜실베니아로 가는 길은 많지 않아, 오 파랑새야, 들어봐! -그녀가 말하는 것을 가져와! (펑산쭤이:펑라이)
번역
동풍이 약하고 꽃이 시들어가는 이 늦봄에 서로 만나기도 어렵고 헤어지기는 더더욱 어렵구나.
봄 누에는 죽을 때까지 비단을 뱉지 않고, 재가 되어 타버린 초는 눈물처럼 밀랍 기름을 뚝뚝 떨어뜨린다.
아침에 옷을 입고 거울을 보면 머리카락의 구름 색깔이 변하고 얼굴이 더 이상 똑같아 보이지 않을까 걱정만 됩니다. 긴 밤에 혼자 잠을 잘 수 없어 차가운 달의 침입을 느껴야 합니다.
펑라이산은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지만 건널 길이 없습니다. 파랑새 같은 전령으로 부지런히 찾아와 주십시오.
감상문 작성하기
사랑의 심리를 여성적인 어조로 표현한 시로, 슬픔과 괴로움 속에서도 불타는 욕망과 끈기를 담고 있으며 감정의 영역이 심오하고 풍부하다.
처음 두 줄은 사랑의 불행과 서정적 주인공의 분위기에 관한 것으로, 어떤 힘 때문에 한 쌍의 연인이 서로 만나기 어렵고 이별의 고통은 그녀가 견디기에는 너무 벅차다는 내용입니다. 첫 번째 문장에서 "하지마"라는 단어는 지금 작별 인사를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이미 정해진 강제 이별을 의미합니다. 두 단어 "어렵다"는 첫 번째는 만남의 어려움을, 두 번째는 고통과 당혹감을 의미합니다. 이전의 시에는 "손이 일어서기가 손바닥만큼 쉽다"(조비의 '거연성'), "손이 일어서기가 손바닥만큼 어렵다"(송우디의 '딩두후거') 등의 대사가 있는데, 이는 재회의 어려움을 강조하고 이별의 아픔을 애도하는 내용입니다. 리상인은 여기서 더 나아가 "서로 만나기 싫어서" "헤어지기 힘들고 견디기 고통스럽다"고 표현하며 "헤어지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시인은 한 문장에서 '어렵다'라는 단어를 두 번이나 사용하고, 두 번째 '어렵다'라는 단어의 등장은 그 반복으로 인해 시 전체가 맞물려 있고, 낮은 표현으로 인해 오랜만에 만난 이별의 아픔이 유난히 깊고 여운이 남는데, 이런 여운과 감상적인 정서가 '서로 만나지 않고 늦게 만나기 싫다'는 구절에 반영되어 있다. "쉽지도 않고 어렵지도 않게"와 같은 평범한 서사에서 이런 여운과 감상적인 분위기를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서정적인 주인공은 늦봄의 풍경을 마주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슬픔에 잠겨 있습니다. 늦은 봄에는 동풍이 약하고 꽃이 피고 지고 아름다운 봄이 사라지려고합니다. 인간은 아무것도 할 수 없으며, 자신의 불행과 정신적 고통은 봄이 지나면 시들어가는 꽃과 같아서 아름다움이 파괴되어 끝없는 실망과 후회를 남깁니다! "동풍이 일어나면 백송이 꽃이 피네"라는 구절은 자연 환경과 작사가의 마음 상태를 모두 묘사하고 있습니다. 사물과 내가 조화를 이루고, 마음과 자연이 미묘한 일치에 이르렀습니다. 이처럼 사람의 상황과 감정을 반영한 풍경 묘사는 리상인의 글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 오는 밤 북쪽에 있는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의 첫 두 줄은 "귀국 날짜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고 가을 연못에는 저녁비가 내린다"입니다. 두 번째 행은 시인이 바슈에 머무는 것을 상징하지만 여행자의 지루함을 반영하기도 합니다. "동풍이 일어나니 백 송이 꽃이 피네"처럼 사실주의와 상징주의가 하나로 합쳐져 감정이 만질 수 있는 외형, 즉 서정적인 분위기의 장면으로 표현된다.
서너 문장을 쓴 다음 "서로를 보는 것이 싫다", "헤어지기 어렵다"는 감정을 더 뒤틀어 씁니다. "누에는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을 때까지 베를 짠다"라는 구절의 "비단"이라는 단어는 "생각하다"라는 단어와 동일합니다. 문장 전체는 죽을 때까지 누에가 비단을 뱉는 것처럼 서로를 그리워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매일 밤 촛불은 심지를 꺼뜨리고"라는 문구는 마치 촛불이 밀랍이 다 타서 재가 되는 것처럼 함께하지 못하는 끝없는 고통에 대한 은유입니다. 한 사람 이상을 생각하는 것은 깊은 그리움을 나타내지만 평생을 그리움 속에서 보낼 것이지만 만남이 무기한이고 미래가 절망적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자신의 고통은 남은 생애 동안 그와 함께 할 것입니다. 그러나 미래는 절망적이지만 그 미래가 너무 좋아서 평생 애착을 가질 것이고, 고통이 있더라도 인내만이 있을 뿐이다. 그래서 이 두 문장에는 실망의 슬픔과 고통, 그리고 불타는 듯한 끈기와 추구가 모두 담겨 있습니다. 이 퀘스트는 절망적이고, 절망 속에서도 우리는 여전히 그것을 추구해야 하기에 이 퀘스트는 비관적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감정은 끝없이 순환하는 것 같고, 끝을 찾기 어렵고, 다면적인 입체감을 형성하는 것 같고, 한 각도에서만 전체를 볼 수 없다. 시인은 이러한 복잡한 심리 상태를 단 두 가지 은유로 표현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는 그의 연상이 매우 풍부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봄 누에'라는 구절은 먼저 인간의 미련한 애착과 봄 누에가 끝없이 비단을 뱉어내는 것을 연상시키고, 누에가 비단을 뱉어내는 것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변함없는 사랑을 연상시킨다. 따라서 비단을 뱉어내며 죽음을 맞이하는 누에의 이미지에는 다양한 은유적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남조 시대 서양의 노래 '비단 만들기'에는 "봄 누에는 늙지 않고(아니, 여기서는 '무시'를 의미함) 밤낮으로 항상 비단을 입는다"고 적혀 있습니다. 너무 안타깝습니다! 지쳤을 때 비단옷을 입어야 할 때입니다." 의도는 "무제"의 "봄 누에"라는 문장과 비슷합니다. 그러나 "지칠 때"라는 말은 "지칠 때가 있다"는 생각으로, 미래가 유망하다는 뜻입니다. 무제」의 '봄 누에'라는 문구는 그렇지 않습니다. 추구하는 정신으로 보면 절망적이지만 희망이 있든 없든 상관하지 않습니다. 감정적 영역은 다르며 연상은 더 구불구불합니다. 리상인 이전의 남조 시대 음악에서는 촛불이 타는 것을 고통과 괴로움에 비유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신사를 생각하면 한밤중에 타오르는 촛불과 같다"(왕룽, '신사가 옷장에서 나오네'), "신사를 생각하면 천 줄의 눈물을 튀기는 촛불과 같다"(첸, 같은 제목) 등이 있습니다. "매일 밤 촛불은 심지를 꺼낸다" 역시 촛불에 대한 은유이지만, 단순히 고통을 밀랍 눈물에 비유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잿더미에서 시작"함으로써 삶의 고통스러운 느낌을 더욱 구체화합니다. 이전 세대보다 훨씬 더 깊고 복잡한 연상을 통해 이미지가 훨씬 더 풍부해졌습니다.
위 네 줄은 내면의 감정 활동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고, 말할 수 없는 감정의 복잡성을 결정화하여 아름답게 쓰여졌습니다.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문장은 외적인 생각으로 전환됩니다. 첫 번째 줄은 자신에 대한 것이고 두 번째 줄은 상대방에 대한 상상입니다. '관자놀이가 변한다'는 말은 고통과 괴로움으로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해 관자놀이가 회색으로 변하고 얼굴이 초췌해지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6나라 시인 오윤이 "슬퍼하면 관자놀이가 변하고 울면 아름다움을 잃는다(마소자 육송)"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하지만 '무제'의 '샤오징'이라는 대사는 "아침에 거울을 보면 관자놀이가 변할까 봐 걱정된다"며 "하지만 걱정할 뿐"이라고 말합니다. -그냥 걱정일 뿐입니다. 이는 단순히 청춘이 고통에 사로잡혀 있다는 사실보다는 노래의 정신적 활동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밤에는 고통 때문에 고민하고, 아침에는 고민하고 괴로워합니다. 밤의 고통은 이루지 못한 사랑에 대한 갈망 때문이고, 다음 날에는 사랑을 위해 젊음을 유지하고자 하는 희망과 허무에 대한 두려움 때문입니다. 요컨대 사랑을 갈망하지만 고통스럽게 좌절합니다. 밤낮으로 이 여운이 남는 것은 여전히 고통스럽고 끈질긴 마음을 보여줍니다. '밤에 노래한다'는 말은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상대방도 자신만큼 괴로워하고 있다고 상상한다는 뜻입니다. 그는 상대방이 밤에 불면증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그를 추모하는 시를 자주 읊조리지만, 그 걱정을 떨쳐버릴 수 없을 정도로 걱정이 많아서 환경은 점점 더 황량해지고 달빛은 차갑고 기분은 더욱 적막해진다고 느낀다. 달의 색은 차갑고 "달의 차가움을 느껴야 한다"는 구절은 육체적 추위를 통해 심리적 암울함을 반영한 것입니다. '~해야 한다'는 말은 추측과 기대의 어조로, 이 모든 것이 상대방에 대한 나의 상상임을 나타냅니다. 이미지가 너무 생생해서 연인을 향한 간절함과 깊은 이해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상상이 구체적일수록, 그리움이 깊을수록 만나고 싶은 욕망에 불을 붙일 수 있습니다. 만날 희망이 없으니 전령에게 자신에게 경의를 표하고 직접 방문하도록 요청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것이 마지막 두 줄의 내용입니다. 이 시는 종종 신성한 부부를 비교합니다. 녹색 새는 여성 신, 서쪽의 어머니 여왕의 사자이다. 팽산은 신화적이고 전설적인 신선의 산이므로 여기서 팽산은 상대방의 거주지의 상징으로 사용되고, 초록색 새는 서정적인 주인공의 사자로 등장합니다. 전령의 마지막 희망은 '서로 미워하는' 고통스러운 상황을 바꾸지는 못하지만 절망적인 희망이고, 미래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시는 끝나지만 주인공의 고통과 추격은 계속될 것입니다.
시는 처음부터 끝까지 고통과 실망, 여운과 끈질긴 감정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시의 각 연은 이러한 감정 상태를 반영하고 있지만 각 연의 구체적인 분위기는 다릅니다. 시 전체에서 복합적인 감정을 서로 다른 측면에서 반복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동시에 이 복합적인 감정을 내용으로 하는 심리적 과정을 수직적으로 긴밀하게 연결하여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 연속적이고 함축적이며 심오한 서정성은 내 마음속의 깊은 감정을 성공적으로 재현합니다.
리상인의 이전 시 작품에서도 1, 3, 4, 5행에 비슷한 묘사가 있었습니다. 시인은 전임자들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이를 계승하고 차용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단순히 선대를 모방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고도의 창의력을 발휘하여 원래 단순한 표현 수단을 더 복잡하고 생생하게 변형하여 더 풍부하고 깊은 생각과 감정을 반영하기 위해 큰 발걸음을 내디뎠습니다. 사실상 그는 옛것의 흔적을 벗어 던지고 새로운 창조물이 된 것입니다. 시인의 풍부한 문학적 훈련과 분위기와 표현 수단에 대한 탐구가이시의 성공을위한 중요한 조건임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