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는 사람이 잘하는 사람만 못하고, 잘하는 사람이 행복한 사람만 못하다. ——"논어·용예"
번역: 이해하는 것보다 사랑하는 것이 낫고, 사랑하는 만큼 즐기는 것이 낫다.
2. 학자들은 야망이 있어야 하며 갈 길이 멀다. 『논어·토기』
번역: 공부하는 사람은 책임이 무겁고 갈 길이 멀기 때문에 높은 야망과 강한 의지가 있어야 합니다.
3. 삼군은 장수를 잡을 수 있지만, 보통 사람은 의지를 잡을 수 없다. 『논어·자한』
번역: 삼군 중 총사령관을 장악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일반인의 뜻을 바꾸도록 강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4. 해가 추우면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드는 줄을 알 것이다. 『논어·자한』
번역: 일년 중 가장 추운 계절에만 우리는 소나무와 편백나무가 가장 늦게 시든다는 것을 깨닫는다.
5. 자비는 멀었나요? 나는 인(仁)을 원하고 인(仁)이 최고이다. <논어>
인(仁), 나와는 거리가 먼가? 내가 자비를 베풀기를 원하는 한 자비가 내 마음을 따라갈 것입니다.
6. 몸이 바르면 시키는 대로 하지 않고, 몸이 바르지 않으면 시키는 대로 하지 않는다. 『논어』
번역: 말과 행동이 옳으면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남이 따르고, 말과 행동이 올바르지 못하더라도 반복하면 따른다. 명령을 내리면 다른 사람들은 따르지 않을 것입니다.
7. 영리한 말과 매력적인 말은 신선하고 자비롭다. "논어·설아"
번역: 다정한 말을 사용하여 친절한 얼굴을 짓는다. 그런 사람들은 마음속에 '인(仁)'이 별로 없습니다(이러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 대한 진정한 사랑이 없습니다).
8. 누구나 실수를 봅니다. 누구나 실수를 존경합니다. 『논어』
번역: 그가 실수하면 다른 사람이 볼 수 있고, 그가 고치면 사람들이 그를 존경할 것이다.
9. 미덕은 결코 혼자가 아니며 이웃이 있어야 합니다. ('논어·이인')
번역: 도덕적인 사람은 세상에 그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10. 온유하고 예의바른 다음 신사가 되십시오. ——"논어·용예"
번역: 사람의 고상한 자질과 외적인 행위가 일치해야 신사가 될 수 있다.
추가 정보:
논어는 유교의 고전으로, 주로 말을 기록한 인용문체이다. 공자가 말년 춘추(春秋)에 강론의 장을 마련한 시기부터 그 주요 내용은 공자가 죽은 뒤 그의 제자들과 재제자들에 의해 대대로 전해지며 점차 기록되었다. 구두로 낭송하는 인용문, 언행 등을 『논어』라고 하고, 『논어』는 주로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하여 『유』라고 부른다. 청나라의 조의(趙儀)는 “화자는 성자의 언어이고, 주석자는 유학자들의 토론이다”라고 설명했다. 공자(孔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한 것이니 내려와서 책으로 엮어라. 『논어』는 총 20장 492장으로, 그 중 공자와 제자들 사이의 대화가 444장 정도, 공자와 제자들 사이의 대화가 48장에 기록되어 있다.
'논어'는 유교 고전으로서 광범위하고 심오하며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논어'의 사상은 주로 독립적이면서 서로 밀접하게 의존하는 세 가지 범주로 구성됩니다. 도덕적 범주 - 인(仁), 사회·정치적 범주 - 의례와 인지 방법론의 범주 - 중용의 교리. 인(仁)은 무엇보다도 인간의 마음 깊은 곳에 있는 참된 상태이며, 궁극적인 타협은 선(善)이 되어야 한다. 공자는 인(仁)의 범주를 정하고, 인(仁)에 적응하고 이를 표현하는 합리적인 사회적 관계이자 타인을 대하는 규범으로서 의례를 구체화하고, '황금중용'이라는 체계적 방법론적 원리를 밝혔다.
참고자료: 논어(중국 유학경전) 바이두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