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기 지질학과 지형학의 계몽기와 성립단계

제4기 지질학과 지형에 관한 과학적 연구는 18세기 유럽에서 시작됐지만, 중국은 수문학, 기후, 지형에 대한 계몽적 연구를 아주 일찍부터 이뤄냈다. 3000년 전 중국인들은 황하 유역의 강수량, 작물 품종, 사냥 동물 등을 기록했습니다. 서주(西周)나라의 『다야도공류』에는 지형을 '구릉'(구릉), '원'(평원), '서'(저습지)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기원전 4~3세기에 쓰여진 『상서』의 『우공』장에는 우리나라 규슈의 일반적인 산과 강, 토양의 유형이 기술되어 있다. 북위시대 이도원(Li Daoyuan)이 쓴 《수경주》(서기 6세기)에는 황하, 장강, 서강 등 주요 하천과 그 해안의 지형, 기후 및 기타 특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송나라의 신궈(Shen Guo)는 현장 관찰을 바탕으로 『몽희비탄』에서 바다와 땅의 변화, 황토의 침식, 이동, 축적에 대해 명확한 견해를 제시했습니다. 명나라의 유명한 지리학자 서하과(1586-1641)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지형의 종류, 분포, 원인에 대해 자세히 관찰하고 기록하였으며, 후세에 그의 관찰을 모아 우리 나라의 유명한 지형저작 《서하객의 여행기》를 집필하였습니다. . 청나라 초기에 Sun Lan은 지형 형성에 대해 "변영과 유천"이라는 견해를 내놓았는데, 즉 축적이 지형을 높게 만들고(변영), 침식이 고지대를 평탄하게 만든다(유전)고 믿었습니다. 지형의 역할은 "시간에 따라, 변화에 따라, 사람에 따라 변한다"는 것입니다. 지형 형성의 역학적 관점에서 지형의 형성과 변화를 논의합니다.

제4기 지질학의 창조는 유럽에서 시작되었다.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에 일부 유럽 지질학자들은 당시에는 표류라고 불렸던 기반암에 분포된 느슨한 퇴적물을 연구했습니다. 성경의 영향을 받아 William Buckland(1784-1856)와 Adam Sedgwick(1785-1873)은 1820년대에 이러한 표류 물체의 형성에 대한 홍수 이론을 제안했습니다(Gideon Mantell, 1790~1852). (diluvium) 및 최신 부분 충적층 (alluvium). 그러나 19세기 초 극지방과 고산탐험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빙하의 이동과 축적을 직접 관찰하고, 빙하가 표류하여 형성된다는 이론을 제시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 Jean-Pierre Perraudin(1767-1858), Ignaz Venetz(1788-1859), Jean de Charpentier(1786-1855) 및 Louis Agassiz(Louis) Agassiz(1807-1873)는 스위스의 바위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빙하 출신이다.

제4기(Quaternary)라는 이름은 1829년 프랑스 파리 분지의 지질학을 연구하던 중 이 분지를 뒤집은 프랑스 지질학자 J. Desnoyers(1800-1887)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러한 집합이 형성된 시대를 제4기라 부르는데, 이는 당시의 제1기와 제2기로 구분된 것과 일치하여 역사에서는 제3기라 통칭한다. 지구의. 1881년 제2차 국제지질학회에서 제4기(Quaternary)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져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거의 같은 시기에 영국의 유명한 지질학자 찰스 라이엘(1797-1875)은 느슨한 축적물을 포함된 현대 동물 종의 수를 기준으로 홍적세와 홀로세로 나누었습니다. 1839년에는 홍적세(Pleistocene)와 홀로세(Holocene)가 추가로 제안되었습니다.

이는 Forbes(1846)가 이전에 제안한 Glacial epoch 및 Post glacial에 해당합니다. 19세기 후반에 Roderick Murchisen은 제4기가 "빙하기"였다고 제안했습니다. 나중에 어떤 사람들은 "빙하기(Ice Age)", "인류세(Anthropocene)", "심령 시대(Psychic Age)"와 같은 이름을 제안했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습니다.

빙하 퇴적물에 대한 층서학적 연구는 185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과거의 얼음 흐름이나 빙하가 두 번 이상 확장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19세기 후반에 대부분의 학자들은 다빙기 개념을 확립했습니다. 1877년 Archibald Geikie(1835-1924)는 East Anglia에서 네 번째 빙하기를 확립했습니다. 1909년에 Albrecht Penck(1858-1945)와 E. Brückner는 알프스에 4개의 빙하를 확립했습니다. 그 이후로 세계 여러 지역에서 네 번의 빙하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제4기 지질학의 일부 기본 개념과 기본 이론이 확립되었다.

1930년대 중국 지질학자인 리시광(Li Siguang)은 루산 빙퇴석의 풍화 정도, 접촉 관계, 지형 특성을 바탕으로 처음으로 중국의 3대 빙하기를 구분했습니다.

지형학의 개화는 제4기 지질학보다 먼저 이루어졌지만, 보다 체계적인 기술이나 논의는 18세기 중반부터 시작되었다. 1749년부터 1788년까지 프랑스의 박물학자 조르주 루이 르클레르(Comte de Buffon, 1707-1788)는 그의 걸작 "자연사"에서 지표면의 지형 기복과 하천 침식에 대한 과학적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이후 영국의 지질학자인 제임스 허튼(James Hutton, 1726~1797)은 『지구론』(1788)에서 강의 침식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했다. 지형학 창설에 큰 공헌을 한 사람은 미국의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William Morris Davis, 1850-1934)와 독일의 알브레히트 펜크(Albrecht Penck, 1858-1945; Walther Penck, 1888-1923)이다. 데이비스는 지형이 구조, 힘, 시간(침식 단계)의 함수라고 믿으며 1899년에 지리적(지형) 순환 이론을 제안했습니다. 주로 물 침식과 같은 외부 힘의 영향으로 지각 운동으로 인해 솟아오르는 산은 유아기, 성인기, 노년기의 세 단계를 거쳤습니다. 노년기에 땅은 "준평원(quasi-plains)"으로 평평해진다. Penke의 "지형학적 분석"(1924)은 지형이 내부 및 외부 힘의 동시 상호 작용의 산물이라고 제안하고 침식 과정과 지각의 수직 이동 사이의 관계를 지적했으며 언덕의 모양(볼록한 경사면)이 , 오목한 경사, 직선 경사)는 지각(상승) 운동과 박리 사이의 정량적 관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러한 탐구 기간을 거쳐 제4기 지질학과 지형학의 기본 개념이 형성되고 몇 가지 기본 이론이 정립되었으나 그 진전은 매우 더뎠다. 1940년대 이후 연대 측정 기술, 고지자기학, 심해 산소 동위원소 분석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제4기 지질학은 급속한 발전의 길을 걷기 시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