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수병이란 어떤 건가요?

전에는 향수병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이런 자의식은 대학에 가서도 계속 이어졌습니다.

부모님과 떨어져 자랐고 중학교 때부터 기숙사 생활을 한 것도 향수병 자의식을 갖게 된 원인일 수 있습니다.

중학교 때 처음으로 모두가 하숙을 했던 때가 기억납니다. 그때는 휴대폰이 없었어요. 놓치면 부모님께 전화했죠. 밤에 기숙사 불이 꺼지면 몇몇 학생들이 나지막하게 흐느끼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다른 학생들이 일어나서 위로하며 이유를 물었죠. 그녀는 향수병이라고 대답했습니다.

당시 저는 "별 것도 아닌데 왜 향수병 때문에 우는 거야?"라고 생각하며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스스로 강하고 집을 떠나도 상관없다고 생각했던 저는 혼자서 뺨을 맞았습니다.

대학 1학년 때 저는 여전히 늠름했습니다. 같은 반 친구들이 몰래 향수를 자극할 때 저는 여전히 무관심했습니다. 방학 때마다 학교에서 보냈고 집에 갈 생각은 전혀 하지 않았죠. 지금 생각해보면 집에 갈 수 있는 날을 소중히 여기지 않았던 것 같아요.

집은 우리에게 정말 중요한 존재입니다. 아무리 소홀히 해도, 아무리 신경 쓰지 않아도 집이 필요한 한 집은 언제나 안식처이자 버팀목이 됩니다. 그것은 당신의 가장 진솔한 모습을 이끌어냅니다.

제가 처음으로 향수병을 심하게 느꼈던 때는 1학년이 끝날 무렵이었는데, 그때가 가장 힘들었습니다. 인생에서 처음으로 기숙사 생활의 불화를 경험하고 있었기 때문에 기숙사에 돌아오면 매일 암묵적인 침묵에 저항하고 있었어요. 그 당시에는 밤이 되면 평화롭게 침대로 돌아가 커튼을 닫을 수 있었기 때문에 저녁이 정말 좋았어요. 그 순간 저는 그곳이 저만의 세상이라고 느꼈습니다.

그 당시 저에게 가장 큰 구원은 다가오는 겨울방학이었습니다.

마지막 시험을 마치고 혼자 기숙사로 걸어가던 모습이 아직도 선명하게 기억납니다. 다음 날 집에 가서 잠시나마 어색한 관계에서 벗어날 수 있었기 때문에 그 10분이 제 인생에서 가장 행복했습니다.

집에 가는 것이 그렇게 설레고 집에 갈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든 것도 처음이었어요. 정말 좋았어요.

이번 주제에는 전에 보지 못했던 또 다른 주제인 '집에 가는 것'이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그 나쁜 관계는 집에 간다고 해서 완화되지는 않았고, 집에 있는 시간이 제가 집을 떠나기로 한 중요한 결정이었어요. 결국 사람의 인생은 너무 짧기 때문에 자신을 편안하게 해주는 사람들과 함께 있어야 합니다.

인턴십을 마치고 나니 일이 그렇게 힘들어서가 아니라 집에 있는 것이 좋았기 때문에 더욱 집에 가고 싶었습니다.

집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하루를 보내는 것도 주말에 기숙사에 혼자 있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느낌이었어요.

집에서는 부모님의 험담이나 형의 싫은 소리도 가끔 들을 수 있고, 같은 TV 프로그램을 보면서 줄거리의 지루함을 잊고 재미있게 시청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