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이 언급한 4차원 공간 모델을 바탕으로 우리가 속한 3차원 우주도 2차원 공간 곡선의 평면과 마찬가지로 4도(시간축) 쪽으로 휘어질 것입니다. 3차원을 향해 공간이 구부러져 구 모양을 이룹니다. (사실 4차원 공간보다는 4차원 시공간이라는 표현이 더 적절하지만 다들 4차원 공간에 익숙하다고 하셔서 이하에서는 변함이 없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가 z축이 아닌 시간축을 향해 휘어진다는 점을 제외하면 공이라고 상상해 보세요. 우리가 있는 공간은 구의 가장 바깥쪽 표면이고, 구의 표면에서 중심까지 세어 보면 소위 부분공간이 됩니다.
사실 부분공간장을 이용하는 것 외에도 일부 고밀도 별 주변의 중력장이 별을 우주의 중심(우주 모델의 중심)쪽으로 밀어내는 것도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구체). 가장 바깥쪽의 실제 공간과 우주 구체의 상호 작용하는 하위 공간 영역에 동시에 존재하는 객체를 상상해 보십시오.
실제로 워프 속도는 부분 공간에 들어가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기껏해야 빛의 속도의 물리적 한계를 실제 공간에서 부분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코일에 의해 생성된 부분 공간 힘장을 사용하여 계산됩니다. 직경이 더 작은 구에서 일정 거리를 이동하고 이를 항해와 동일한 각도로 더 큰 직경의 실제 공간에 투영한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그 거리는 물체의 속도로 인해 빛의 속도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이때 현실 공간에서는 우주 구의 중심에 대한 부분 공간 역장의 깊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중심점에 가까울수록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는 충격이 실제 공간에 투사되는 거리가 극적으로 증가합니다. (지수배) 따라서 워프 속도와 현실 속도 비교표가 있습니다. (참고: 이 설명은 근본적으로 상대성 이론에 위배됩니다. 우주의 모든 지점은 동일합니다. 즉, 우주의 모든 지점은 동일할 수 있습니다. )
이 이론을 확장하면 워프 속도가 레벨 10에 도달할 때만(부분 공간 힘 장이 우주 구의 중심점에 도달함) , 속도는 제한 속도를 초과하고, 워프 속도 레벨 10에 도달한 함선은 우주에 동시에 존재합니다.
물론 실제 우주에서의 가속도가 빛의 속도를 초과할 수 없다는 점에 비하면, 스타트랙은 워프10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 같다.(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사실 물체가 빛의 속도를 넘을 수 없다는 생각은 아인슈타인 시대의 생각에서 비롯됐다. 광원의 속도가 아무리 빨라도 빛의 속도를 측정한 값은 같다는 아주 어려운 현상을 누군가가 발견한 것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것은 누군가가 제안한 것이 아니라 실험의 결과입니다. 단지 이 실험의 결과가 너무 이상해서 설명하는 사람들마다 의견이 다를 뿐입니다.
로렌즈가 제시한 이론은 (사실 이와 비슷하지도 않았습니다). 이 이론은 이전에 이론을 제시한 사람들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무시되었습니다.) 이 이론은 모든 물체가 이동 방향을 따라 거리를 줄여 측정된 광속 값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물체가 수축하고 시계가 느려지는 거리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로렌츠 변환 공식을 썼습니다. 물론 이 진술은 다소 역설적이며 어떤 사람들은 이것을 상대성 이론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시간을 늦추고 거리를 단축한다는 생각을 완전히 버리고 4차원 공간으로 대체했다. 실험 데이터를 설명하는 모델입니다. 설명은 매우 멋지지만, 너무 많은 사람들이 그것에 대해 잘못된 인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시계가 느려지는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정지한 사람의 시간은 변하지 않고 움직이는 시계가 느려질 수 있습니까? 상대 운동의 관점에서 볼 때 양측 모두 상대방의 시계가 느려졌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
그런데, 흥미롭게도 아인슈타인의 4차원 공간 모델에 따르면, 운동 차이가 있는 두 물체가 서로의 시계를 관찰하고 둘 다 상대방의 시계가 느려졌다고 생각하는 일이 실제로 발생합니다.
나는 그 날 EXPLORE에서 4차원 공간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실제로 계산해 본 적이 없습니다! Discovery Channel에서 Science Footprints 4x(정확한 에피소드 수를 잊음)를 시청했을 때 4차원 공간 모델을 수행했는데 정말 훌륭했습니다. 모든 물리 이론과 모델은 현실 세계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한쪽을 설명하면 반대쪽에서 모순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마치 카펫에 구멍이 뚫린 것 같은 느낌이 들고, 그 구멍을 메울 적당한 천 조각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원단이 모양이 안맞게 재단되어 있어서 원단을 넣으려고 했더니 한쪽은 맞고 반대쪽은 안맞더라구요.
아인슈타인 이전에도 많은 사람들은 시간이 느려지고 거리가 짧아지는 등 빛의 속도가 일정한 현상을 설명했다. 전통적인 이론의 허점을 메우는 것은 더 많은 농담을 만들 뿐입니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시간이 느려지고 거리가 짧아진다는 개념을 완전히 포기했다는 점을 다시 강조하고 싶습니다. 그의 생각은 움직이는 물체의 시간 축이 운동 방향을 따라 기울어진다는 것이었습니다. 즉, 자체 타임라인이 있습니다. 즉, 모든 물체에는 시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다른 물체를 관찰하면 상대 물체의 시간이 느려지고 거리가 짧아졌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현실 세계에서는 추진력만으로 물체를 가속시키면 전통적인 뉴턴 역학에 따르면 물체의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지고, 그러다가 빛의 속도를 넘어설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새로운 세대의 과학자들은 물체의 속도가 빛의 속도에 가까워지면(다른 관찰자의 관점에서) 질량이 증가하고(물론 다른 관찰자의 관점에서) 거리가 짧아질 것이라고 믿습니다( 다른 관찰자의 관점에서 볼 때) 빛의 속도를 결코 깨뜨릴 수 없습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의 4차원 공간은 빛의 속도에 도달하는 물체이기 때문에 그 시간축이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기울어져 있는 것 역시 불합리한 현상이므로 이론상으로는 빛의 속도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 트랜스워프는 워프 인수로 계산되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트랜스워프의 정의는 공간의 모든 지점에 즉시 도달하는 것이며 이는 의미가 없습니다.
한 가지 주목해야 할 점은 트랜스워프가 warp10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워프 10은 속도 기록을 경신한 것이며(개체는 우주 구체의 모든 지점에 동시에 존재함), 트랜스 워프 및 전통적인 워프 장치는 우주선이 워프 속도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장치(또는... 기술)입니다. 보그가 말한 대로 트랜스워프를 사용하면 스타플릿의 워프보다 속도가 20배 이상 빠르다. 하지만 속도 비교표를 보면 아직 워프 속도가 9인데… 워프하는 항해자는 없습니다. 10시에 무슨 일이 일어났습니까? 그런데 재미있는 건 TNG(기업이 생명체를 흡입하고 한 번 충돌한 후 6시간 동안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 에피소드)에서는 워프 10을 초과하면(즉, 워프 11, 워프 12...), 시간이 거꾸로 흐를 수 있습니다. (라이커가 그 에피소드에서 언급했습니다.) 그런데 항해자 에피소드는 워프 10에서 선형 시간의 한계를 깨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보이저호에 탄 승무원은 수백만 년을 넘는 빠른 속도로 진화하고 퇴화했습니다) 형님 앞으로 이러한 관계를 파라마운트가 어떻게 설정할지 모르겠습니다.
이 외에도 tng에는 여러 가지 특별한 이유로 기업의 속도가 차트에서 벗어난 에피소드가 몇 개 있습니다(워프 10인지 아닌지는 감히 말할 수 없습니다). 트랜스워프, 그게 최종 답은 아닌 것 같아요. 그러나 확실한 것은 해당 에피소드에서 보이저가 사용한 트랜스워프와 보그가 사용한 트랜스워프 사이에 주요 차이점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워프 속도로 이동하는 물체가 현재 공간의 물체와 충돌할까요?
그렇습니다.
따라서 워프 속도로 별, 블랙홀 또는 충분한 크기의 우주 물체를 향해 돌진하는 것은 물론 파국적인 결과, 즉 난파 및 인명 손실을 초래할 것입니다. 그러나 코스를 설정할 때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사항을 피합니다. 혜성과 같은 움직이는 물체에는 도움이 되는 편향 장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