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자의 진화 과정

1. 갑골문의' 호랑이' 라는 단어는 동물에 대한 전체적인 묘사이다.

호랑이라는 육식 맹수는 먹이 사슬의 꼭대기에 있으며, 먹이 사슬 전체를 통제할 뿐만 아니라 고대 선조들의 생존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래서 먼 옛날 선조들은 이 야수에 대해 매우 친숙하고 경외심을 가지고 있었다.

갑골문의' 호랑이' 라는 글자는 호랑이의 좌측 보기일 뿐 동물 호랑이의 이미지에 대한 전체적인 묘사이다. 사실, 이 단어는 신석기 시대 음산암화 속의 호랑이와 매우 흡사한 그림에서 나온 것이어야 하며, 대비를 통해 그 전승 관계를 분명히 알 수 있다.

2. 청동기 비문에' 호랑이' 라는 글자가 동물의 지방적 특색을 부각시켰다.

처음에 산시법문사 서주금문의' 호랑이' 라는 글자는 여전히 호랑이의 전체 형태였다. 예를 들어 서주 청동기 비문의' 호랑이' 는 갑골문의' 호랑이' 와 매우 비슷하다. 나중에 청동기 비문에 나오는 "호랑이" 라는 글자가 호랑이 발톱을 두드러지게 했다. 조상들은 사냥 생활에서 호랑이의 힘과 특징이 주로 발톱과 치아에 나타난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에' 호랑이' 였다. 글리프의 창의적인 디자인에서' 발톱' 과' 치아' 의 양끝을 항상 병행할 수는 없다. 그래서' 호랑이' 라는 글자는 이후의 발전과 진화에서 종종 우리에게' 발톱' 과' 이빨' 중 하나를 강조하는 구조형을 보여 준다.

예를 들어 김문의' 호랑이' 글자는 호랑이 발톱에 대한 묘사가 너무 과장되고, 진간중의' 호랑이' 글자는 호랑이 발톱에 대한 묘사에 초점을 맞추고, 초간중의' 호랑이' 글자는 분명히 호랑이 치아의 돌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3. 예서의' 호랑이' 자, 호랑이의' 이빨' 과' 발톱' 의 구성은 여전히 같다.

호랑이' 자는 갑골문, 김문, 소전 등 고문의 진화를 거쳐 예서를 거쳐 중요한 변화를 겪었다. 실제 호랑이 이미지와의 격차가 크다. 이미 고대 한자처럼 호랑이를 똑똑히 볼 수는 없지만, 호랑이의 몇 가지 기본 특징을 보존하고 있을 뿐이다. 설문해자' 소전의' 호랑이' 는 예서의' 호랑이' 까지 이어졌다.

4. 해서체의' 호랑이' 자는 울부짖는 호랑이가 산에 오르는 완벽한 좌측 풍경이다.

예서가 해서체로 진화한 후,' 호랑이' 라는 글자는 호랑이 이빨을 보존할 뿐만 아니라 갑골문의 호랑이 다리와 호랑이 꼬리의 구성을 이어받아 한자 전체를 더욱 완벽하게 만들었다. 위의' 하나',' 하나' 는 호랑이 귀,' 하나' 는 호랑이의 턱과 이빨,' 하나'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