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무니없는 소설의 배경

삶의 부조리를 이야기하는 것은 고대 서양 드라마에서 오랫동안 볼 수 있었던 일이다. 고대 그리스 비극이 시작된 이래 소포클레스와 아이스킬로스의 희곡은 인류의 운명과 인간 생활 조건의 잔인함과 부조리에 대한 관심을 보여왔습니다. 20세기 실존주의 작가이자 극작가인 사르트르와 카뮈는 많은 소설과 희곡을 통해 이성에 기초한 인간 존재의 부조리를 드러냈다.

구체제는 근대사에서 혁명의 물결에 여기저기 흔들리며 심오한 사회적 변화를 겪었고, 마침내 제1차 세계대전의 연기 속에서 완전히 붕괴됐다. 부르주아 정치 체제가 확립되었으나 아직 모든 낡은 모순이 제대로 해결되지 않았고, 이러한 낡은 모순과 새로운 모순이 얽혀 새로운 사회 모순이 속속 등장하면서 당시 사회 불안의 특징을 이루게 되었다. 어수선하고 자주 바뀌는 시대 배경, 심지어 단순히 '시대 배경 없음', 그리고 터무니없는 소설에 등장하는 복잡한 사회 질서 개념은 실제로 이러한 시대 배경을 반영합니다.

전쟁은 모든 세대의 마음에 치유할 수 없는 상처를 남겼습니다. 신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오래된 신념은 무너지고, 아름다운 희망과 이상은 산산이 부서졌습니다. 세상은 예측할 수 없고 사회는 불안하다. 재난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은 전쟁의 상처를 애무하며 고통스럽게 반성하기 시작했고, 전통적 가치관과 기존 질서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게 됐다. 과거의 영적 기둥은 무너졌고, 아직 새로운 신앙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영적 공허함은 문학과 예술에 반영되어 자연스럽게 "무의미하고, 터무니없고, 쓸모없는 주제"를 형성합니다.

대표 작가 유진 이오네스쿠(Eugene Ionescu)는 카프카의 글 <도시의 무기들>에 대한 토론에서 “부조리란 의미의 결여와 종교적, 형이상학적, 초월적 뿌리를 가리킨다. 상실하고 그들의 모든 행동은 무의미하고 어리 석고 쓸모 없게됩니다.”

격동의 시대의 다양한 모순 속에서, 낡은 아이디어와 새로운 아이디어의 싸움에서, 당시의 다양한 트렌드에 영향을 받고 영감을 받았습니다. 사상, 부조리소설은 『이 소외된 세계를 자신만의 시각으로 이해하고, 죄와 추악으로 가득 찬 이 세계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비판한다. 이러한 이해와 비판은 물론 작품에 반영된 사상, 공포, 불안, 혼란은 부조리소설의 기조가 된다.”(<카프카 단편소설번역서문>) 부조리소설에서는 인간의 역사, 인간의 본성, 인간의 운명, 인간의 운명에 대한 이해를 볼 수 있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회의 관계를 보면, 사람들의 미래에 대한 걱정과 불안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