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본성에 대한 서양의 견해는 무엇입니까?

유럽이 봉건사회에 진입한 이후 자연적 인간성론은 종교신학의 인간성론에 잠기고 부정되었다. 자연적인 인간 본성에 관한 이론이 부활한 것은 르네상스가 되어서야였습니다. 이 시대의 사상가와 예술가들은 모두 그들의 초점을 신에서 인간, 인간 본성, 세상의 세속적 정신으로 옮겼습니다. 예를 들어, 보카치오는 인간의 감정과 욕망은 인간의 본성이며 억제하거나 피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단언했습니다.

근대 유럽 계몽주의 학자들의 인간성 사상은 신성을 이용해 인간성을 부정하고 이를 신성을 부정하는 인간성으로 대체한 중세 종교신학에 대한 르네상스 비판을 바탕으로 전개됐다. 현대 유럽의 자연적 인간 본성 이론가들은 인간은 자연의 산물이며, 인간의 본성은 행복과 기쁨을 추구하고 고통과 재난을 피하는 것이라고 거의 만장일치로 믿고 있습니다. 물론, 사상가마다 자신의 의견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는 인간 본성이 이기적이고 사악하다고 굳게 믿었습니다. 그의 유명한 말은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늑대와 같다"는 것입니다. 홀바흐는 인간의 본성은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지만 조화롭게 살고 싶다면 한 가지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칩니다.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자신을 행복하게 만드는 수단입니다. 사람의 행복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루소는 인간의 본성은 타고난 것이며, 이 타고난 본성의 첫 번째 법칙은 자기애라고 믿었습니다. 자기 이익과 자기 사랑은 하나님께서 주신 권리입니다. 이 자연적 인권은 인간의 본성에 기초한 불가침이며 포기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는 사람에게는 자기애뿐 아니라 연민도 있다고 믿었습니다.

유럽의 현대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신학적 이상주의와 봉건 전제주의에 반대하기 위해 인간 본성 이론을 무기로 사용했고, 신성에 반대하기 위해 인간 본성을 이용했으며, 자기애와 사리사욕의 자연적 본성을 반대하기 위해 사용했다. 금욕주의는 모두 진보적이다. 그러나 그들은 인간을 단지 자연의 동물로 이해합니다. 그러나 인간 본성은 다차원적인 인간 본성의 한 측면일 뿐이다. 그들은 사회 생활과 사회적 실천이 인간 본성에 미치는 근본적인 역할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자연적 인간 본성 이론가들 중 일부는 인간 본성이 본질적으로 악하기 때문에 외부 사회 규범을 사용하여 억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자연적 인간 본성론에서 쾌락주의와 쾌락주의적 인생관을 도출한 사상가도 있다. 그들은 자연에 따라 살고 자연에 순응하는 삶을 옹호합니다. 고대 그리스 사상가 데모크리토스(Democritus)는 사람들의 감각적 욕구가 충족되어야 한다고 믿었으며 이것이 행복과 행복의 요구 사항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헤라클레이토스, 에피쿠로스, 루크레티우스 등 다른 자연적 인간성 이론가들 역시 쾌락 추구와 고통 회피를 인간 본성으로 간주하고, 행복은 감각적 쾌락 추구와 고통 회피라고 믿습니다. 물론 인간의 행복에는 영적인 행복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독일의 감각주의 인본주의 이론가 포이어바흐는 지각적 삶에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인간과 생명체의 궁극적인 본성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육체적 욕구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모든 것이 여기에서 시작되고 끝나며, 이는 자연주의적인 감각적 행복 이론의 실패로 이어진다. 이는 사람들의 삶 추구에 대한 낮은 수준의 지침을 만들어 내는 것이기도 하며, 이론적으로는 인간의 본성과 삶, 인간의 행복에 대한 오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합리적인 자연적 속성 측면에서 인간의 필요를 확인합니다. 감각주의의 또 다른 이론적 단점은 개인의 행복과 사회적 행복이라는 모순적인 질문에 대답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감각적 행복론과 이기주의 원리는 합리성과 덕성을 옹호하는 사상가들로부터 공격을 받고, 인간의 사회적 속성을 강조하는 사상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여기서 강조해야 할 것은 인간의 자연적 속성과 자연적 인간성 이론은 전혀 다른 문제라는 점이다. "자연적 속성"은 주로 인간의 자연적 욕구와 생리적 기능을 의미하며 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인어와 자신의 동물 본성 사이의 관계입니다. 그러나 인간으로서 그의 자연적 속성은 더 이상 독립적인 존재의 의미를 갖지 않습니다. 동물의 경우, 인간은 자연의 법칙을 의식적으로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자연계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요컨대 인간은 한편으로는 자연스럽고, 시간과 공간, 특정한 자연조건, 고유한 존재형태에 의해 제한되는 존재임과 동시에 사회문화세계의 주체이다. 세상을 지배하고 자연과 다른 사회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존재.

사람은 이성적이며, 이성적이고 통제된 삶을 살아야 한다는 점은 이미 피타고라스, 소크라테스 등 초기 그리스인들이 제시한 바인데, 그들은 모두 이성적 통제하에 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간 본성에 대한 합리적 이론은 플라톤의 '이념' 사상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