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고굴의 초기 동굴과 동굴 벽화는 삶을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전통 회화에 외국 종교 예술이 미친 영향을 보여줍니다.
막고굴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동굴은 16국과 북위시대의 267굴(271, 272, 275, 251, 254, 2굴 57호, 259호 등)이다.
동굴 272, 275, 267-271이 특히 주목할 만합니다. 267번 동굴 - 271번 동굴에는 268번 동굴이 주요 방으로 있고, 다른 동굴은 비할라 스타일(또는 승려들이 수행하고 수행하는 승려의 방 스타일) 동굴이며 부속된 방이 있습니다. 그 중 십육국 벽화는 수나라 벽화로 뒤덮여 있다. 이 동굴 그룹의 건축 형태, 272번 동굴과 275번 동굴의 모양과 벽화, 세 동굴 사이의 관계는 모두 독특하며 알려진 가장 오래된 동굴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272호 동굴과 275호 동굴의 십육국 시대 벽화는 흙빛 붉은 배경에 흩어진 꽃으로 덮여 있고, 반쯤 벗은 인물, 극도로 과장된 움직임, 인체가 흐릿한 등 특별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염색법은 볼륨감과 피부톤을 표현한다.(그러나 시간이 지나서 물감의 색이 변하고 굵은 검은 선들만 보일 뿐이다. 일부 벽화편에 따르면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는 검은색이 원래 밝은 살색이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272굴의 보살상과 275굴의 '시비왕자타카 이야기'는 모두 대표작이다.
오른발에 체중을 실은 보살상은 차분하고 매력적인 자세를 갖고 있는데, 이는 이 시대의 불상을 다루는 새로운 방식이 고려된 자세를 선택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실생활을 바탕으로 아름답습니다. 이 보살은 다른 보살과 마찬가지로 생명을 흡수하고 정제한 아름다움의 형상이다.
'시비왕 자타카 이야기 그림'에는 시비왕이 한쪽 다리를 늘어뜨린 채 앉아 있고, 누군가 그의 다리 살을 칼로 자르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다. 다른 사람이 저울을 들고 있고 저울 한쪽 끝에 조용한 비둘기가 놓여 있습니다. 이것이 이야기의 일부를 설명하기도 하지만, 다음의 줄거리를 모두 비교적 일반적인 방식으로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부처님의 전임자인 시비왕은 독수리 입에서 비둘기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비둘기와 같은 무게의 자신의 살을 기꺼이 희생했습니다. 그러나 다리, 팔, 옆구리, 몸 전체의 살을 잘라낸 후에도 여전히 비둘기보다 가벼워서 마침내 체중계 위에 오르기로 결정했습니다. 그 결과 하늘과 땅이 흔들리고, 시비왕은 전보다 훨씬 더 평안을 되찾았습니다. 시비왕의 자타카(Jataka)는 북위 왕조의 불교 벽화와 일부 부조에서 인기 있는 많은 자타카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이 자타카 이야기는 부처님이 전생에 다른 사람을 구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여 불교의 가르침을 전파한 이야기입니다.
북위시대 동굴의 일반적인 형태는 앞방과 안방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앞방은 수평 직사각형이고 지붕이 앞뒤로 경사져 있으며 서까래 사이에 인동덩굴 무늬가 줄지어 있습니다('헤링본 경사 무늬'라고 함). 안방은 중앙에 정사각형 기둥이 있는 정사각형 구조입니다. 중앙 기둥에는 불교 벽감과 동상이 있습니다. 네 벽면 모두 벽화가 그려져 있습니다. 동굴의 천장은 사각형으로 나누어진 평평한 패턴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254번 동굴과 257번 동굴은 모두 이런 형태입니다. 이 형태는 북부 왕조 후기에 가장 인기 있는 "바닥 만들기 동굴" 형태였습니다("바닥 만들기 동굴"은 예배실의 인도 이름이며, 이는 비하라 스타일 외에 또 다른 중요한 동굴 형태입니다). 일부 동굴에는 중앙 기둥이 없지만 뒷벽에 벽감과 조각상이 있으며 동굴 상단은 "Dousi 케이슨"(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사각형이 대각선 방향으로 박힌 사각형)입니다.
254번 동굴과 257번 동굴의 벽화는 상대적으로 풍부합니다. 그 중 254굴의 "시비왕 자타카 이야기", "사투나 왕자의 자타카 이야기", 257굴의 "사슴왕 자타카 이야기"는 북위 왕조의 유명한 걸작입니다.
사투나 왕자의 삶은 다른 사람을 구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도록 사람들을 설득하는 또 다른 이야기이다. 옛날 어느 임금의 세 왕자가 산과 숲으로 사냥을 나갔다가 새끼 호랑이 일곱 마리를 낳은 것을 보고 배가 고팠습니다. 막내 왕자인 사투나는 부처님의 전임자였으며, 매우 자비로워 두 형제를 설득하여 떠나게 하였고, 배고픈 호랑이를 구하기 위해 자신의 몸을 희생하려고 옷을 벗고 산 아래로 뛰어내렸습니다. 그러나 Hungry Tiger는 더 이상 그에게 다가갈 힘이 없었습니다. 다시 산에 올라 마른 대나무로 목을 찔러 피를 흘렸다가 다시 뛰어내리자 배고픈 호랑이가 피를 핥고 고기를 먹었다. 그의 두 형제가 그를 만나러 돌아와 슬픔에 잠겨 그의 뼈를 모아 부모에게 알리고 그를 위해 탑을 쌓았습니다.
285호 동굴 지붕 중앙에는 '두시 케이슨'이 있는데, 4개의 경사면에는 해와 하늘(푸시), 달과 하늘(여워), 천둥의 신, 페이리안, 페이티안, 고행자들의 행렬이 그려져 있습니다. . 수행자의 동굴 밖에는 숲속과 냇가에 다양한 동물들이 놀고 있습니다. 동굴 꼭대기에 있는 동물들의 묘사는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우며 감동이 가득합니다. 동굴의 네 벽은 대부분 한 명의 부처와 두 명의 보살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동굴 벽 꼭대기에는 종종 바람에 날아다니는 하늘이 있고, 바닥에는 용감하고 강한 전사들이 있습니다. 남쪽 벽 중앙에는 '오백강도 이야기 그림'이 있습니다.
285굴 벽화 중 이 부분은 북위말, 즉 6세기 중반 중원지방에서 유행했던 불교미술과 동일한 스타일과 특징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보살과 공자의 가늘고 얇은 얼굴, 두껍고 주름진 한복, 허공에 펄럭이는 허리띠와 꽃가지 등. 건물은 기울어 진 상태이고 나무는 당나라 장연원이 말한 것과 같습니다. "브러쉬 정맥과 속이 빈 잎이 있고 거기에는 많은 버드 나무와 버드 나무가 살고 있습니다." 285번 동굴은 같은 시기의 다른 동굴 및 조각 기념물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285호 동굴 뒷벽에 있는 불상의 그림 스타일도 매우 다릅니다. 그중에는 의심할 여지없이 272호 동굴의 마지막 남은 불상이 있습니다. . 이 부분 외에도 285동굴의 벽화는 전통을 바탕으로 전개된 새로운 형태의 종교예술을 대표할 수 있다.
막고석굴에는 249호 동굴 꼭대기의 사냥 그림 등 한나라의 회화 양식을 완벽하게 계승한 북조 말기의 동굴도 있다. 이 사냥화에는 활기차게 질주하는 동물과 사람과 말, 산과 나무를 타고 총을 쏘는 모습이 그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청룡, 백호, 열두머리 용 등의 이국적인 짐승과 동왕도 등장한다. 그리고 비불교 신화의 서왕모. 428동굴의 『사투나 왕자의 자타카 이야기』와 『수다나 왕자의 자타카 이야기』는 둘 다 산과 숲, 승마의 장면을 많이 묘사하고 있으며, 이는 민화화가들이 새로운 이야기와 이야기를 다루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새로운 주제로 친숙하고 전통적인 이미지와 표현을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를 얻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수다나 자타카 왕자'도 인기 있는 자타카 이야기입니다. 한 왕이 여섯 개의 엄니를 가진 흰 코끼리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은 매우 강력하고 싸움에 능숙했습니다. 코끼리. 적국의 왕들은 왕의 아들 선재나가 자선에 능하다는 것을 알고 모든 요청에 응했기 때문에 브라만 여덟 명을 보내 그에게 와서 코끼리를 구하게 했습니다. 과연 선재나는 코끼리를 꺼내서 그들에게 주었습니다. . 여덟 사람은 코끼리를 타고 즐겁게 떠났습니다. 그 후, 나라의 왕과 대신들은 크게 겁을 먹었습니다. 왕은 수다나(Sudhana)와 그의 아내, 자녀들을 나라에서 추방했습니다. 선재는 길을 따라 걸으며 계속해서 보시를 했습니다. 모든 보물을 나눠준 뒤에도 계속해서 마차와 옷을 나누어 주었습니다. 결국 그의 자녀들은 결박되어 노예로 팔렸고, 그의 아내와 자신도 버림받았습니다. 이야기의 끝은 아이들이 팔렸을 때 할아버지가 그들을 발견하고 구속한 다음 수다나 부부를 데려왔다는 것입니다.
수나라는 오랫동안 통치하지 않았지만 개황시대에는 수많은 석굴을 짓고 사람들을 둔황으로 보냈다. 수나라 벽화가 있는 96개의 동굴 중 302굴(개황 4년, 584년), 305굴(개황 5년, 585년), 420굴, 276굴, 419굴이 있다. 모두 상대적으로 중요합니다. 일부 벽화의 경우 수나라와 북조 말기의 벽화에서는 시대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이 동굴의 건축 형태와 벽화 주제는 북위 왕조의 것과 대부분 유사합니다. 동굴의 형태는 당시 유행했던 바닥을 만든 동굴의 형태이다. 벽화의 배치는 대부분의 이야기 그림이 동굴 꼭대기에 위치하고 있으며 네 개의 벽에는 현 칼파 천불이나 설법 그림이 그려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불화에는 표현이 풍부하고 싸움, 싸움, 활쏘기, 소달구지, 마차, 기병, 낙타 마시기, 물 길러오기, 배 건너기, 탑 쌓기, 낚시하기, 등 생활 장면에 대한 상세한 묘사가 많이 있다. 농사, 화장 등 모든 것이 간단하고 현실적입니다. 구성도 더 복잡하고 다양해졌습니다. 수나라 벽화는 불교미술이 한층 더 성숙해진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