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서와 초서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어느 것을 먼저 배워야 합니까?

먼저 행서를 배우는 것이 가장 좋다. 초서는 기법에 대한 요구가 더 높다.

행서는 해서체와 초서 사이에 있는 일종의 쓰기 스타일이다. 비교적 방종하고 유창하게 써서 초서에 가까운 것을 초서라고 한다. 글씨가 비교적 단정하고 안정적이어서 해서체의 기준에 가깝다.

글을 쓰는 과정에서 획의 움직임은 다양한 형태의 점화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이런 획의 움직임은 왕왕 점화 사이, 글자와 글자 사이에 서로의 흔적을 남기고 섬세하고 섬세하다.

행서는 해서체의 빠른 쓰기로 해서체의 흐름이다. 해서체와 행서의 몇 글자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서체와 행서로 쓸 때 점화의 필기법과 펜을 쓸 때 따라야 할 지침 (예: 중심, 포필, 추주, 장봉 등) 이 일치하고 행서는 상대적으로 펴지고 매끄럽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행서필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점화는 종이에 정면으로 노출된 방식으로 많이 쓴다.

[2] 평탄도 대신 측면을 사용하십시오.

[3] 복잡한 점화를 간단한 획으로 대체한다.

[4] 체크, 선택, 결박을 통해 점화의 호응을 강화한다.

[5] 사각 할인 대신 원형 회전을 사용하십시오.

조창의 획은 매우 간단하며, 감긴 끈으로 연결되어 있어 오늘의 풀과 비슷하다. 그러나 그 구조는 평평하고, 필법이 무뚝뚝하며, 획에는 파도가 있다. 특히 그림의 시작과 끝은 예서의 필의를 뚜렷하게 보존하고, 글자로 독립적이고, 간헐적이고, 질서 정연하며, 풀과 들풀과 분명히 구별된다.

이런 풀은 일반적으로 초서라고 불리는데, 조장과 해서체를 기초로 조장이 남긴 예서 흔적을 제거하고, 필기속도를 높이고, 고리걸이를 더해서 만든 것이다. 장회영은' 산산조각' 이라는 책에서 "조창지의 책은 각각 다르다" 고 썼다. 장지가 현대 풀이 되어 속도를 높이거나, 모련을 뽑거나, 상하에 연루되거나, 접미사를 접두사로 하고, 기이한 이합을 하고, 수의를 겸비한다. " 조창과 조금의 다양한 자세와 필법에 대한 총결산이다. 최원의' 선녀첩' 과 같다.

들풀' 은 당대에서 시작되었고, 당인 장욱은' 들풀' 의 창시자로' 초성' 으로 불린다. 나중에 스님의 회소도 들풀의 대가였다. 들풀은 오늘날의 풀보다 더 간단하고 빠르며, 필법은 더욱 구불하고, 활발하고, 분방하며, 천리를 질주하는 기세가 크다. 옛사람들은 그 모양을 "껴안거나, 네 가닥을 흔들거나, 가지런히 쌓거나, 위아래로 불공평하거나, 그늘에 높이 치켜들거나, 자기 위에 올려놓는다" 고 말했다. " 정말 "얼마나 교묘하고 다양하며, 끊임없이 생겨나고, 이상하지 않다" 는 것이다. 작가는 그것을 사용하여 호쾌한 감정을 표현하거나, 종횡무진하는 야망을 표현하거나, 정체된 감정을 분산시킬 수 있다. 그러나 획을 많이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모양과 글자와 선의 모양이 너무 달라 식별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