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있어도 본 적이 없는 것 같고, 먹어도 들어도 모르는 것 같다. 좋다. . 원문은 증자의 춘추시대 『대학』에서 따온 것이다.
원문:
소위 수양은 마음을 바로잡는 데 있습니다. 행복이 있으면 바로잡을 수 없고, 걱정이 있으면 바로잡을 수 없습니다. 멍하니, 눈을 감아도 보지 못하고, 들어도 냄새를 맡지 못하며, 맛을 모르고 먹는다. 수련은 마음을 바로잡는 일이라는 뜻이다.
인격을 기르려면 먼저 마음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하는 이유는 화를 내지 않으면 마음을 바로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두려움이 있으면 마음을 바로잡고, 마음에 좋아하는 것이 있으면 바로잡을 수 없고, 마음에 근심이 있으면 바로잡을 수 없습니다.
잘못된 마음은 자기 안에 없는 마음과 같아서 보기는 보아도 보이지 않는 것과 같고 듣기는 들어도 들리지 않는 것과 같다. 먹고 있는데 어떤 느낌인지 전혀 알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의 인격을 기르기 위해서는 먼저 마음을 바로잡아야 합니다.
추가 정보:
창의적 배경:
"대학"은 "의례서"에서 유래했으며 원래는 49권의 네 번째 내용이었습니다. "의례서" 12개 조항의 장. 『대학』은 대략 전국시대 초기, 공자와 증자 이후, 맹자와 순자 이전, 즉 기원전 5세기경에 쓰여졌다.
감상:
'대학'의 전체 텍스트는 단순한 어법, 심오한 의미 및 광범위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진(秦) 유교 도덕 수양 이론을 요약합니다. 유교의 정치철학은 도덕수양의 기본원칙과 방법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인생과 사무, 나라 다스리기에 대한 깊은 계몽을 담고 있는 체계적 논의를 갖고 있다.